최악의 글로벌 경기 침체기에 접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사태로 인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거부감이 맞물리면서 4/4분기부터 한국산 제품 판매가 빠른 속도로 회복될 것이란 전망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업종별 주요 기업들은 8월 이후 글로벌 입국제한조치가 점진적으로 회복될 경우, 미국,유럽 등 주요국들이 중국에 대한 천문학적인 코로나19 확산 손해배상 소송움직임과 맞물려 한국산 생활용품 관련 제품군이 세계 시장을 석권해온 중국산 제품을 일정 부분 대체할 수 있다는 분석을 조심스럽게 내놓고 있다.
실제 국내 주요 생필품 기업들은 코로나19사태 이후 한국산 브랜드가 마케팅 측면에서 중국에 비해 유리해질 것으로 보고, 주요 국가 입국제한조치만 대거 풀린다면 수출회복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계는 정부차원에서 주요국 입국제한 조치가 풀리거나 예외적으로 입국가능하도록 최대한 지원해줄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교부 및 주요 대기업들은 해외 현지공장 재가동 및 수출입업무 재개를 위해 양자간 협상을 통한 입국제한 예외조치 허용을 유도하고 있다. 실제 베트남 정부는 입국제한 강화조치 예외로 한국 기업인 340명에 대한 특별 입국을 허용, 삼성전자 등 주요 기업 필수인력이 29일 베트남현지에 입국한다.
이날 베트남에 입국하는 한국 기업인 출장단은 삼성전자 포함 협성회 회원사를 중심으로 총 143개사 340명으로 구성됐다. 이번 조치는 베트남 현지 플랜트건설 및 공장증설, 운영 등을 위한 필수인력을 입국시키면서 지역별로 전세기이동 및 방역,격리기간 등을 통해 한국 기업인이 베트남 현지인과 접촉할 수 없도록 완벽하게 분리 차단 운영키로 한 한국 정부의 제안에 대해 베트남 정부가 신뢰한 데 따른 것이다.
북남미 및 러시아 등 국내 가전업체 현지 공장 역시 5월 3일 자로 일제히 재가동에 들어간다. 멕시코 주정부 역시 현지 봉쇄령을 해제키로 함에 따라 삼성전자 해외 최대규모 TV공장인 티후아나 공장은 27일부터 재가동에 들어갔다. 삼성전자 멕시코 케레타로 가전 공장 역시 28일부터 재가동에 나섰다.
LG전자 역시 멕시코 레이노사 TV공장은 30일자로 재가동에 나서고 멕시칼리 TV공장,몬테레이 냉장고공장 및 오븐공장 역시 5월 4일자로 재가동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멕시코 한국 가전공장은 4월 10일 셧다운에 들어간 지 20여일만에 잇따라 공장 재가동에 나서게 된다.
이와 함께 외교부가 지난달부터 입국제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 세계 주요 국가와 양자 간 협의를 통해 한국 기업인에 대한 예외적 입국을 허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함에 따라 8월이후 한국 기업인 예외적 입국을 허용하는 국가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점도 고무적인 상황이다.
외교부는 코로나19사태 발생 이후 3월부터 한국발 입국 제한을 하고 있는 국가 중 한국 기업 활동이 많은 중국, 베트남, 인도, 터키, 쿠웨이트, 카타르 등을 중심으로 협상을 진행, 현재까지 총 8개국으로부터 예외적 입국 허용을 끌어낸 상태라고 29일 공식 밝혔다.
하지만 국가별 한국 기업인 예외적 입국 허용을 이끌어내는 국가 간 협상은 복합적인 요소와 변수로 인해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고 있어 국내 기업의 해외 공장 재가동 및 수출 물량 확대는 4/4분기께나 돼야 의미있는 수치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현재 외교부가 협상을 진행 중인 세계 주요국의 경우 코로나19사태 관련 확진자 규모와 확산속도, 정부의 대응방식이나 방역체계가 천차만별인 데다, 국가별 방역에 대한 자신감이 다르기 때문에 맞춤형 양자간 협의를 통해 한국 기업인 예외적 입국여부를 타진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외교부 양자경제외교총괄과 최혁재 과장은 “국제선 공항 자체를 폐쇄한 국가의 경우는 어떻게 할 방도가 없고 수십명 단위에 전세기를 띄울 수도 없는 상황”이라며 “국가별 상황과 방역체계가 제각각이고 무엇보다 개별 국가가 자국내 방역체계에 얼마나 자신감을 갖고 있느냐에 (예외입국 국가 확대여부가)달려있다”고 밝혔다.
현재 외교부는 10여개국과 추가 양자협상을 진행 중이며, 연말까지 한국 기업인 예외입국 허용국가를 최대 30개국까지 확대키로 하고 외교채널을 가동 중이다. 외교부는 국내 주요 대기업의 해외 현지공장 생산능력 및 물동량,수출규모 등이 크고 현지공장이 다수일 경우 정부 주도로 전세기를 띄우거나 격리조치 등의 조치를 통해 해당국과 협의에 나서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올해까지는 한국 기업인이 입국금지 제한 없이 국제공항을 통해 오가는 이른바 ‘현지인 접촉 입국’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고, 양자간 협상을 통해 해당국 현지인과 접촉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방안을 내세워 예외입국 국가를 점차 확대해나간다는 방침이다.
No comments so far.
Be first to leave comment be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