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와 카카오에 대한 정부 여당의 압박 수위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두 포털사 관계자들이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되는가 하면, 카카오는 7년간 3번의 세무조사까지 받았습니다.
이들 포털은 왜 정부와 여당으로부터 ‘미운털’이 박혔을까요?
업계에서는 네이버와 카카오를 장악해야 선거에서 유리할 것이란 논리가 이 같은 사태를 키웠다고 보고 있습니다. 포털에 노출되는 뉴스가 자신들에게 긍정적이라면 여론 또한 호의적으로 흘러 갈 것이라는 판단에서입니다.
국회의원 총선이 불과 6개월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정부와 여당의 ‘포털 길들이기’는 이미 시작됐습니다. 그 시동은 새누리당 여의도연구원의 ‘빅데이터(?) 보고서’ 였습니다.
여의도연구원은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최형우 교수팀에 의뢰해 분석한 ‘포털 모바일 뉴스 메인 화면 빅데이터 분석 보고서’를 지난달 3일 공개했습니다. 실제 이 보고서에 ‘빅데이터’라는 용어를 써도 될는지 의문이 들만큼 분석량은 미미합니다.
보고서는 2015년 1월부터 6월까지 5만여 건의 포털 메인뉴스의 제목을 긍·부정, 중립으로 나눴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분류 기준이 명확치가 않습니다. 일반적이라면 키워드가 가진 긍·부정 의미를 바탕으로 자동분류 후 연구원이 최종 검수를 거치는 방식으로 기사가 구분됐을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뉴스 제목만으로 긍정과 부정을 구분했다는 겁니다. 소위 자극적인 내용이나 낚시성 기사를 제외하더라도 기사 제목과 내용이 다른 경우는 너무나 많습니다. 또 지면기사의 경우 제목만 보고는 이 기사가 어떤 내용을 담고있는 지 파악하기 조차 힘듭니다. 그런데도 새누리당은 이런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문제는 또 있습니다. 여당이라고 하면 새누리당을 뜻하지만, 이 보고서에서는 정부와 여당을 모두 ‘여당’으로 판단했습니다. 즉 ‘경찰관 비리’라는 키워드가 들어간 제목은 여당에 대한 부정적 기사로 구분했다는 겁니다. 이런 오류 투성이 보고서를 기반으로 새누리당은 포털의 편향성을 지적하고 나섰습니다.
보고서를 좀 더 자세히 살펴봐야겠습니다. 보고서 분량은 40여쪽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1~6월 새누리당과 정부에 대한 부정적 기사는 네이버 671건, 다음 505건으로 나타납니다. 반면 야당에 부정적인 기사는 네이버 55건, 다음 61건으로 분석됐습니다. 오히려 네이버가 정부 여당에 대한 비판기사를 더욱 많이 메인에 배치했고 다음이 야당에 대한 비판 기사를 더 많이 노출했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포털 사용자라면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드는 결과입니다.
또 네이버 콘텐츠 중 12.9%, 다음 콘텐츠 중 4.8%의 뉴스 제목이 편집됐다고 보고서는 밝히고 있지만 이 마저 ‘엉터리 지적’이라는게 밝혀졌습니다. 네이버와 카카오 관계자들은 “절대 뉴스 제목을 건드리지 않는다”고 항변했습니다. 그럼 왜 이런 지적이 나왔을까요? 바로 포털 기사에서 화면 크기를 넘어서는 긴 제목을 말줄임표 등으로 줄인 것을 보고서는 ‘제목 편집’으로 판단한 겁니다.
이런 보고서에 대해 집권 여당 김무성 대표는 “포털은 제목까지 수정하는 등 사실상 새로운 유형의 언론으로서 기존 언론보다 훨씬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지적하기 까지 했습니다. 잘못 꿰어진 첫 단추에 장단을 맞춘 꼴입니다.
포털을 길들이기 위한 무리한 방식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카카오의 경우는 압박 수준을 벗어나 실제 기업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카카오는 2008년 광우병 사태 이후와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그리고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국세청의 세무조사를 받았습니다. 한 기업이 7년간 3번의 세무조사를 받는 경우는 0.06%에 불과하지만 이 극소수 기업에 카카오가 포함됐습니다. 당연히 외부에서는 카카오를 ‘탈세기업’으로 볼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2014년 카카오는 정부의 감청에 불응하겠다는 발표를 한 뒤 당시 이석우 대표가 카카오그룹에 음란물 유통을 방치했다는 이유로(아동·청소년 성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 경찰 조사를 받았습니다. 이후 사건은 검찰로 넘겨져 지난달 8일 이 전 대표는 피의자 신분 조사까지 마칩니다.
카카오가 국세청과 검찰의 견제를 받고 있다면, 네이버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정재찬 공정거래위원장은 지난 17일 국정감사에서 “(네이버가)점유율만 봐서는 독과점 업체로 볼 수 있다”며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 여부에 대해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 같은 발언은 김상민 새누리당 의원이 “네이버와 카카오가 시장 독과점 지위를 이용해 불공정행위를 하고 있다”는 지적에 이은 답변입니다.
하지만 이미 지난해 대법원은 네이버를 포털 시장에서 시장지배적 사업자로 보기 어렵다는 판결을 내린바 있어 정치권의 포털 길들이기가 도를 넘었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네이버는 이미 2008년 전 한나라당 소속 진성호 의원이 “이미 평정됐다”고 했는데도 아직 평정하지 못했나 봅니다. 과연 포털과 정치권의 힘 싸움이 어떻게 끝날지 흥미(?)있게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No comments so far.
Be first to leave comment be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