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하이닉스가 창사 42년만에 삼성전자를 제치고 글로벌 D램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제치고 점유율 1위를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HBM분야의 독보적인 시장점유율을 앞세운 SK하이닉스가 세계 D램 시장에서 1위로 올라섬에 따라 50년간 D램시장의 절대강자였던 삼성전자는 초격차 선두기업의 지위를 잃은채 D램시장 마저 2위로 내려앉는 수모를 겪고있다.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 매출을 추월하며 D램시장 점유율 36%로 1위를 차지한 것은 HBM(고대역폭메모리) 부문에서 70%에 달하는 점유율을 차지한 것이 결정적 요인으로 분석된다.
9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 1분기 전 세계 D램 시장에서 SK하이닉스가 매출액 기준 36%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 1분기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34%로 2위, 3위 마이크론의 점유율은 25%로 집계됐다.
카운터포인트측은 “SK하이닉스는 시장초기부터 특화된 HBM D램 칩의 매우 까다롭고 어려운 제조공정개발에 집중하며 이를 성공적으로 생산,가장 먼저 엔비디아에 대한 HBM공급에 성공한 것이 이번 성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카운터포인트 최정구 책임연구원은 “SK하이닉스의 이번 성과는 결국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HBM 메모리에 대한 대응을 적극적으로 함으로써 D램시장 전체를 주도한 이정표가 됐다”고 설명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올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8.25% 증가한 17조1842억원, 영업이익은 125.9% 성장한 6조5194억원으로 추정됐다. 지난 8일 잠정실적을 발표한 삼성전자는 올 1분기 D램에서 약 12~14조원 안팎의 매출을 올렸을 것으로 잠정 추정됐다.
시장에서는 1분기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의 D램 매출액을 처음으로 역전했을 거라는 전망이 꾸준히 제기된바 있다. 실제 삼성전자의 HBM 공급량이 지난해 4분기 대비 크게 감소한 것과 달리, SK하이닉스는 HBM3E 12단 등 고부가 HBM의 출하량을 견고하게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올해 2분기에도 D램 시장의 성장 및 업체 점유율 양상은 SK하니익스 1위,삼성전자 2위 구도를 그대로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50여년간 D램시장에서 초격차리딩 기업으로 군림해온 삼성전자는 올해들어 지난해 4분기보다 HBM공급량이 감소한 데다, 여전히 엔비디아에 대한 HBM납품승인을 받지 못하는 등 고전을 거듭하고 있는 등 최첨단 고부가 D램시장에서 서서히 밀리며 2위로 주저앉는 등 창사후 최대 위기를 맞고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증권가는 관세 등 대외 변수로 반도체 수요에 불확실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고대역폭메모리(HBM)를 통한 실적 차별화가 뚜렷해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는 잇따라 상향 조정한 반면 삼성전자 주가에 대해서는 관망 혹은 부정적 견해를 유지하고 있다.
투자업계 및 시장 전문가들은 메모리 가격 반등과 HBM3E(5세대) 12단 비중 증가가 향후 SK하이닉스의 실적 개선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1분기 기대를 웃돈 실적을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8일 잠정 실적 발표를 통해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9.84% 증가한 79조원, 영업이익은 6조61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증권가 영업이익 컨센서스(4조9613억원)를 약 1조6000억원 웃도는 깜짝 실적이다.
증권가는 SK하이닉스의 경우 세계적인 불경기와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HBM 및 선단공정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는 점을 들어 2분기에도 실적개선과 함께 주가를 상향조정했다.
SK증권은 “SK하이닉스의 2분기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22% 증가한 8조2000억원으로 잠정 추정된다”면서 “HBM3e(5세대 HBM) 12단 비중 확대, DDR5 가격 반등, 일부 낸드플래시(NAND) 제품 가격 회복 등이 실적 개선을 이끌고, NAND 부문의 적자 폭도 점진적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관세전쟁과 글로벌 무역 분쟁 등 대외 변수로 인해 반도체 수요에 불확실성이 존재해 2분기를 기점으로 상당한 수요기복도 우려된다는 분위기다.
관련기사 = SK하이닉스,삼성제치고 ‘세계 최고층’ 321단 낸드 최초 양산,HBM이어 낸드까지 앞서나
관련기사 = 메타,토종 AI반도체칩 퓨리온사AI 1조원대 인수추진,삼성·SK하이닉스 기회놓치나
관련기사 = 일본 정부,미·일 반도체합병 반대한 SK하이닉스 겨냥, 반도체 ‘제2 라인사태’터지나
관련기사 = SK하이닉스 2분기 어닝써프라이즈,영업익 5조달성,HBM시장주도,순풍
관련기사 = [위기의 삼성전자-①]D램실적,HBM으로 SK하이닉스에 제압당한 삼성전자,예고된 참사
관련기사 = SK그룹,그룹사업 재정비 본격화,배터리·HBM 중심?
관련기사 = 로이터 “삼성전자,HBM 엔비디아 테스트통과 못했다”, 삼성 “진행중”강력반발
Notification; SENDING 1,990730 bitcoin. Assure =>> https://graph.org/Message–685-03-25?hs=23cf609188501f597204ecb6180abf21&
2025년 4월 12일 #1 Author89tg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