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치원뷰]한국 언론이 ‘코로나,바늘로 100번찔러도 안죽어”집단오보낸 사연 [피치원뷰]한국 언론이 ‘코로나,바늘로 100번찔러도 안죽어”집단오보낸 사연
‘바늘로 100번 찔러도 90도 열에도 끄떡없는 코로나바이러스’ 국내 주요 언론이 20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코로나 바이러스의 강한 생존력에 대한 연구결과를 잘못 해석한 오역 기사를 그대로... [피치원뷰]한국 언론이 ‘코로나,바늘로 100번찔러도 안죽어”집단오보낸 사연

‘바늘로 100번 찔러도 90도 열에도 끄떡없는 코로나바이러스’

국내 주요 언론이 20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코로나 바이러스의 강한 생존력에 대한 연구결과를 잘못 해석한 오역 기사를 그대로 인용 보도, ‘코로나바이러스 바늘로 100번 찔러도 죽지 않는다’는 오보를 줄줄이 내는 사태가 발생했다.

연합뉴스가 20일 홍콩특파원발로 ‘바늘로 100번 찔러도…’ 보도하자 국내 주요 언론은 주말인 20일 연합뉴스 기사를 그대로 인용,마치 코로나바이러스가 바늘로 100번 찔러도 죽지않는 강한 회복력을 갖고 있다는 취지의 보도를 쏟아냈다. 하지만 ‘100번 찔러도’기사는 사실이 아닌 완전 엉터리 오보기사로 드러났다.

실제 이 기사는 연합뉴스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기사를 인용 보도한 외신기사로, 홍콩 해당 매체가 18일 오후 11시 송고 기사를 통해 코로나바이러스가 열,충격 등 외부 요인에 견디는 회복력이 뛰어나다는 취지의 보도를 하면서 최초로 기사 본문에 “virus particle withstands being probed by a nano needle 100 times”이라는 내용을 소개하면서 발단이 됐다.

연합

해당 매체 베이징주재 스테판 첸기자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열에 견디는 내열성,자가 치유력, 외부충격에 견디는 회복력 등이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는 제하의 기사를 통해 최초로 ‘needle 100 times(바늘 100번)’ 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이어 연합뉴스가 이를 확인하지 않고 그대로 번역 소개했고 국내 주요 언론이 이를 받아 쓰면서 집단 오보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홍콩 해당 매체는 헝가리 연구팀이 코로나바이러스 입자가 나노 바늘로 100 번 탐사(probed,이를 찌른다는 의미로 번역보도)해도 견딘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프랑스 과학자들은 한 시간 동안 섭씨 60 도의 온도에 노출된 후에도 동물 세포에서 복제가 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보도후 연합뉴스가 20일 오전 9시 20분 국내 언론으로는 최초로 자사 홍콩특파원발로 ‘바늘로 100번 찔러도…끄떡없는 코로나바이러스’한 제하의 기사를 보도했고,이후 국내 전 언론이 연합뉴스 기사를 그대로 인용, 보도하기에 이르렀다.

1

하지만 홍콩의 해당 매체가 보도한 이 기사는 생물과학을 위해 2013년 설립된 액세스 프리 프린터저장소인 바이오아카이브(biorxiv org)에 게재된 헝가리 세멜바이스(Semmelweis)대학 미클로스 켈러마이어(Miklos Kellermayer)박사팀의 검토 논문자료를 인용 보도한 것으로 밝혀졌다.

해당 논문은 SARS-Cov2라는 바이러스 파티클의 물리화학적 특징을 실험한 연구결과물로 논문 어디에도 ‘바늘(needle)’이란 단어 자체가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홍콩의 해당 매체는 출판전 검토논문을 올려놓는 바이오아카이브 게재자료를 인용 보도하면서 미클로스 켈러마이어 박사팀의 연구논문을 잘못 번역, 오역하면서 결정적으로 ‘바늘 100번 찔러’ 엉터리 오보기사를 게재한 것으로 피치원미디어 추적결과 밝혀졌다.

확인결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인용한 논문에는 ‘needle’이란 단어 자체가 없는 것은 물론, 바이러스를 찔러봤다는 연구과정에 대한 어떤 내용도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홍콩의 해당 매체는 헝가리연구팀이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과정을 연구한 과정에서 밝혀진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층과 바구니모양으로 분리되는 리보핵 단백질에 대한 외부 자극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를 연구한 논문내용을 잘못 해석한 것으로 추정된다.

바이오아카이브에 공개된 해당 논문의 경우 코로나바이러스의 조직인 ‘비리온(virion)’표면을 원자 파워현미경을 통해 빠른 움직임과 유연성을 갖춘 동적인 스파이크 단백질에 외부 자극을 준 결과 표면 브러시가 제거되는 과정을 확인했지만, 비리온은 외부 충격에도 불구하고 유연성이 뛰어나고 급격한 회복력을 보인 것으로 소개됐다.

캡처

전문가 의견을 종합한 결과 코로나바이러스의 이중 층 표면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외부 자극을 주고 60도 80도 90도 높은 온도에서도 스스로 치유하고 회복하는 놀라운 복원력을 갖추고 있다는 게 해당 논문의 주요 연구결과로 확인됐다.

종합해보면 홍콩의 해당 매체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가해지는 외부 자극 및 충격을 마치 바늘로 100번을 탐지했지만, 바이러스 입자가 견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오역해 보도했고 연합뉴스가 이를 그대로 번역 보도하자 국내 주요 언론이 최초 논문을 확인도 하지않고 연합뉴스 기사를 그래도 써 무더기 엉터리 오보기사를 낸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의학전문매체 메디컬라이프사이선스는 20일자 ‘놀랍도록 회복력있는 코로나바이러스 비리온(virion)’제하의 기사에서 “(스파이크 단백질에 대한)밀어넣고 후퇴하는 과정으로도 바이러스가 깨지거나 무너지지 않고 100 회까지 수행되었다(The indentation-retraction process was carried out up to 100 times, without the virus breaking or collapsing) ” 고 보도해 대조를 이뤘다.

2

전문가그룹은 국내 대다수 언론이 외신을 인용 보도하면서 해당 논문 자체에 대한 확인도 없이 그대로 번역만 하는 관행으로 인해 이런 집단 엉터리 오보 기사를 내는 사태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바이오아카이브가 소개한 해당 논문 요약내용 ]

SUMMARY

SARS-CoV-2, the virus responsible for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displays a corona-shaped layer of spikes which play fundamental role in the infection process. Recent structural data suggest that the spikes possess orientational freedom and the ribonucleoproteins segregate into basketlike structures. How these structural features regulate the dynamic and mechanical behavior of the native virion, however, remain unknown. By imaging and mechanically manipulating individual, native SARS-CoV-2 virions with atomic force microscopy, here we show that their surface displays a dynamic brush owing to the flexibility and rapid motion of the spikes. The virions are highly compliant and able to recover from drastic mechanical perturbations. Their global structure is remarkably temperature resistant, but the virion surface becomes progressively denuded of spikes upon thermal exposure. Thus, both the infectivity and thermal sensitivity of SARS-CoV-2 rely on the dynamics and the mechanics of the virus.

One sentence summary The native coronavirus 2 displays a dynamic surface layer of spikes, a large mechanical compliance and unique self-healing capacity.

한 과학자는 “한국 언론은 과학을 다룰 과학 저널리즘을 다룰 능력이 아직은 부족한 상황”이라며 “최소한 해당 논문에 대한 검증과 확인과정은 거쳐야 하는 기본 과정도 무시해 발생한 집단 오보 사태”라고 지적했다.

No comments so far.

Be first to leave comment below.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